명왕성 특징과 얼음화산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9번째에 있는 행성입니다.공식명칭은"134340 플로토"입니다.1930년에 발견되어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정의 되었다가 2006년 국제천문연맹에서 행성 분류법에 의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면서 지금은 행성이 아니라고 천문학자들은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그렇지만 여기에는 의견이 저마다 다르고 지금 다시 행성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논문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에 비해 약간 특이한 궤도를 가지고 있습니다.원일전과 근일점의 차이가 커서 공전궤도의 일부가 해왕성의 공전궤도 안쪽에 위치해있습니다.언뜻 보면 두 행성이 충돌하지 않을까 염려하지만 명왕성의 궤도 경사가 큰편이라 해왕성의 공전궤도면을 통과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습니다.이러한 공전 궤도의 특이성은 명왕성보다 더 큰 에리스의 발견으로 행성의 위치에서 박탈당하는 이유중 하나가 됩니다.
과학자들은 처음 명왕성 표면에서 독특하게 생긴 산을 발견햇을 때 이것이 화산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습니다. NASA 에임즈 연구소의 올리버 화이트는 이렇게 수킬로미터 높이로 넓게 퍼진 산은 지구에는 화산을 의미한다고 설명햇습니다.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만약 운석 충돌로 생긴 분화구와 산이라면 방패를 덮어놓은 것 같은 순상화산 형태를 이루지 않습니다.대신 움직임이 큰 용암이 흘러나와 산을 형성했다고 생각하면 이런 완만한 경사의 거대한 산을 형성된 이유를 설명하기 쉬워집니다.다만 다른 가능성도 배제할 필요는 잇기 때문에 실제로 얼음 화산인지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합니다.물론 얼음 세상인 명왕성에서 화산이란 얼음 화산을 의미합니다.이 얼음은 물,암모니아,메탄,질소 등이 혼합된 것으로 끓는점이 낮은 메탄과 질소는 명왕성의 얼음 용암에서 폭발성이 강한 휘발성 성분의 역할을 할것입니다.이는 지구와 비교하면 꽤 흥미로운 주제지만 현재 활화산에 해당하는 얼음 화산이 없어 직접적인 증명은 어렵습니다.NASA의 과학자들은 동시에 명왕성의 표면이 1천만년 이내의 매우 젊은 지형들을 포함하고 잇다는 사실도 밝혀 냈습니다.명왕성의 크레이터 분포는 분명하게 이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크레이터가 전혀 없는 새로운 지형은 명왕성 면적의 상당 부분을 차지 합니다.얼음 용암을 비롯해서 명왕성 지표면에 형성된 빙하에 의해 지형이 계속 새롭게 변하는 이유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절대 영도에 가까운 차가운 천체에 지구처럼 역동적인 지질활동이 생긴다는 것은 상당히 의외 입니다.아마도 카론과의 중력 상호 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추측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정말 의외의 장소에서 사구 지형의 증거를 찾아 냈습니다.바로 명와성의 스푸트니크 평원입니다. 브리검 영 대학의 지질학자인 야니 라데바우와 그녀의 동료들은 거의 진공 상태나 다른 바 없는 명왕성의 표면에 사구 지형이 형성될 수 잇다는 연구 결과를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하였습니다.연구팀은 스푸트니크 평원에 있는 독특한 물결 무늬 지형에 주목햇습니다.이는 지구에서 볼 수 잇는 사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사구 지형이라고 자신 있게 주장하기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습니다.명왕성의 대기 밀도가 너무 낮아 과연 입자가 움질일 수 있는가와 영하-239도에서 모래 같은 입자로 존재할 물질이 무엇인지 하는 것입니다.연구팀은 여러 전문가들의 협력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햇습니다.우선 사구 지형을 만든 입자는 작은 메탄 입자로 추정됩니다. 명왕성의 표며 온도가 약간 오르면 메탄 입자가 승화되면서 더 작은 크기의 모래 알갱이 같은 입자로 작아지는 것입니다.이를 날리는 것은 지구의 1/1000도 되지 않는 희박한 대기의 흐름입니다.이것이 가능할지 매우 의문스럽지만 연구팀은 시물레이션을 통해 이런 희박한 대기라도 시속 29~40KM로 불면 작은 메탄 입자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연구팀에 의하면 바람에 날리는 힘의 20%만 있어도 모래를 이동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발견 전까지는 타이탄이 얼음 사구가 있는 유일한 천체였습니다.또한 화성보다 대기가 더 희박한 천체에서 발견된 유일한 사구 지형입니다.연구팀은 이 사구 지형이 50만년 전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역설적으로 희박한 대기와 약한 중력 때문에 한번 형성된 사구 지형은 오랜 세월 유지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