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왔을 대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는 자연적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지구는 태양의 주의를 돌고있고 달은 지구의 주의를 공전합니다.하지만 아주 가끔 태양 그리고 달,지구가 일직선을 향해 나란히 위치해서 달의 그림자가 해를 가릴 대가 있습니다.이때 지구에서 바라볼 대 그림자 속에 속한 지역에서 바라보면 태양이 달에 가려지는 현상이 보이게 됩니다.이 현상을 일식이라 합니다.또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면 개기일식이라고 합니다.이때는 낮인데도 밤처럼 어두워 집니다.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한 상태 즉,태양의 일부분만 가릴 때를 부분일식이라고 합니다.드물게는 달이 태양의 가장자리만 남긴채 가리는 것을 금환일식이라고 합니다.일식은 아주 짧은 시간동안 환경에도 많은 영향일 끼칩니다.해가 가려지기 때문에 온도도 변화하게 되며 보통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평소와 5~10도 정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그리고 해가 완전히 사라지기 때문에 동물들이 울부직는 소동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월식은 월면 전부 또는 일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서 지구에서 본 달의 밝은 부분이 일부 또는 전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대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만원일 때에만 일어난다고 합니다.그러나 달의 궤도면이 지구의 궤도면과 약 5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에놓일 기회가 적기 때문에 만월 때도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 부분월식이 일어나며,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 개기월식이 일어납니다.이때 지구대기를 통과한 빛 중 붉은 빛만 굴절되어 달에 도달하게 되고,이 빛이 다시 반사되어 희미한 붉은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개기일식과 다른 점은 월식은 태양-지구-달 순서로 일직선을 이룰 때 나타납니다.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 관성을 반사해 빛이나기 때문에 월식은 지구가 태양의 광선이 달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또 개기월식은 개기일식에 반해 비교적 더 오래 관측됩니다.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달은 붉은색으로 문들기 때문에 블러드문이라고 부릅니다.지구 그림자의 어두운 부분이 달 표면으로 떨어지며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띠는 이유가 바로 레일리 산란 때문입니다.이는 빛의 파장보다 훨씬 더 작은 분자나 입자들에 의한 산란을 말합니다.지구의 대기로 들어오는 햇빛은 여러 가스 및 물방울 먼지 등의 입자에 부딪치며 흔터지게 됩니다.이때 보라색이나 파란색철검 파장이 짧은 빛은 산란이 되는 반면에 적색처럼 긴 파장의 빛은 달의 표면까지 도달해 구부러지거나 굴절되며 붉은 빛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일식과 월식을 알아보았으니 달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달은 지구의 위성입니다.수성과 금성에는 따로 위성이 없습니다.그래서 태양계 가장 안쪽에 있는 위성이 달입니다.달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달의 자전주기는 다략 27.3일 정도입니다.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는 거의 동일합니다.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면 달의 공전주기가 대략 29.5일이 나옵니다.삭망월이란 삭에서부터 다음 삭가지.망에서부터 다음 망까지 이르는 시간을 뜻합니다.삭은 달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 있을 때를 뜻합니다.그리고 망은 달과 태양이 지구 중심에서 반대 방향에 있을 대를 뜻합니다.달의 표면 온도는 최저 영하 233도 까지 내려갑니다.표면 최고온도는 123도 정도 입니다.달은 지구에서 관측하기 쉬운 천체입니다.달의 겉보기 등급은 -2.5에서 -12.9입니다.겉보기 등급은 지구에 있는 관측자가 보는 별의 상대적 밝기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입니다.과거에는 달이 지금보다 10만KM 이상 가까웠다고 합니다.그래서 지금보다 달이 더 크게 보였습니다.가로와 세로는 1.35배 그리고 면적은 1.8배 가량 더 크게 보였습니다.현재 달은 지구와 계속해서 멀어지고 있습니다.멀어지
는 속도는 대략 1년에 3~4CM 정도입니다. 계속해서 달이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건 아닙니다.15억년 정도 지나면 달의 궤도가 안정화되는데.이때부터는 더이상 지구에서 달이 멀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그리고 달에도 지진 활동이 있습니다.이를 월진이라고 부릅니다. 한번 달에서 지진이 일어나면,십여분 가량 진동이 지속된다고 합니다.마지막으로 달의 기원과 관련되 몇가지 설을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형제설,부부설,충돌설,부자설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충돌설이 가장 주로 학설로 여겨지고 있습니다.충돌설은 지구와 화성만한 천체 충돌로 인해 그 파편이 뭉치면서 달이 만들어졌다는 설입니다.
1960년대 말,우주 비행사들이 월석을 가져오면서 주류 학설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흑물질의 모든것 (0) | 2020.10.13 |
---|---|
명왕성 특징과 얼음화산 (0) | 2020.10.12 |
지구형 행성 금성의 특징 (0) | 2020.10.09 |
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의 특징 (0) | 2020.10.09 |
블랙홀의 비밀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