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혜성이 무엇인지,특징은 어떤것이 잇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먼저 혜성에 대해 간단하게 말하자면 혜성은 태양계 내에 속한 작은 천체를 말합니다.대표적인 특징으로는 긴 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그리고 혜성은 태양이나 다른 큰 질량을 가진 행성 주위를 돕니다.타원이나 포물선의 형태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혜성은 그 모양이나 특징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순 우리말로 혜성을 꼬리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말 고대로 꼬리가 있기 때문에 꼬리별이라고 부릅니다.혜성의 구조는 중심은 핵입니다.핵을 이루는 성분은 대부분 태양 복사열에 의해 녹습니다.복사열로 인해 녹으면서 핵 주의를 둘러싸고 있는 가스 대기층인 코마가 만들어집니다.또한 혜성은 고대 사회에서 아주 불길한 존재로 여겨졌습니다.비슷한 곳에서 일정 주기를 가지고 나타나는 게 아니라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라 재앙처럼 여겼다고 합니다.
혜성은 초기 태양계가 형성되면서 외각에 존재하게 된 오르트 구름으로 부터 태양계 내의 중력이나 어떠한 섭동을 받아서 태양계 내로 진입한 천체로 보고 있습니다.소행성과 크기면에서 비슷하지만,혜성은 코마라는 핵 주변을 감싸고 있는 대기와 이 주위를 넓게 싸고 있는 수소운이 있고 이동중에 생기는 꼬리를 가집니다. 혜성의 꼬리는 이온꼬리와 먼지꼬리가 있습니다.혜성이 궤도 운동을 하는 동안 태양의 강한 복사압으로 코마 내의 먼지들이 그대로 궤도 상에 뿌려지게 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먼지꼬리는 혜성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혜성의 표면에 생기는 입자들 중 비교적 큰 입자들은 태양 복사압보다는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더 받아서 오히려 태양 쪽으로 끌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이 경우를 반 꼬리라고 합니다. 혜성은 생성 초기 태양계 바깥 대열에서 태양의 중력으로 인해 태양계 내로 집입을 하게 되었습니다.목성같은 큰 질량을 가진 행성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아 궤도요소가 매우 잘 변하는 편입니다.그래서 어떤 해성들은 태양계 내에 진입한 후 태양이나 다른 행성에 부딪혀서 부서지기도 하고 태영계 밖으로 빠져 나가버리기도 합니다. 200년 이상의 주기를 가지는 혜성은 장주기혜성으로 분류하는데 대부분 포물선 궤도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혜성이 행성과 충돌한 경우도 있습니다.1994년 목성에 엄청난 충돌이 일어났습니다.슈메이커 베리9 혜성이 목성에 부딪친 것입니다.이 충돌은 전 세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습니다.아마도 목성의 거대한 중력이 혜성이 버티지 못한것으로 보고있습니다.혜성의 낮은 길이가 다양합니다.핼리혜성의 경우 낮은 2.2에서 7.4 지구시간에 이루는 등 변화무쌍 합니다.그리고 일부 과학자들은 혜성이 지구에 생명의 싸앗을 뿌린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아미노산이 혜성에서 관측되어 지구 생명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 분자가 외계에 기원을 두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힘을 실어 주었습니다.이 아미노산이 어떻게 혜성에 포함되게 되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에서 성간 공간의 얼음이 디펩타이드가 생겨날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리라는 것을 밝혀 냈습니다. 이 결과 먼 우주에서 온 혜성이 오늘날 지구 위에 살고 있는 생명체의 구성 요서를 싣고 왔을지도 모른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이것은 지구 초기의 바다에서 생명체가 발생했다는 오래된 가설과는 반대되는 가설입니다.
새로운 장주기 혜성은 궤도의 특징때문에 출현 시기와 장소를 예상할 수 없습니다.혜성의 발견 보고는 지역 천문대를 거쳐 미국의 스미스소니언 천문대로 보내집니다.혜성으로 확정되면 그 차례대로 출현 연도와 a,b,c를 붙여 가번호로 삼고 새로운 혜성은 발견자의 이름으로 부릅니다.궤도가 계산된 다음 근일점을 통과한 해와 통과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확정 번호로 삼습니다.혜성은 회귀때마다 물질을 방출하여 수백 회 태양에 접근한 다음 소멸합니다.그러나 태양계가 탄생한지 46억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새로운 혜성이 나타납니다.성간 가스와 성간진이 응집하여 태양계가 형성될 때 행성으로 성장히자 못한 미행성이 행성의 작용으로 태양계의 바깥 가장지리로 확산되어 혜성운을 만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혜성의 모물질 중에 성간분자와 비슷한 것이 있으며 혜성의 고체입자 화학조성이 성간진과 비슷하다는 것은 이 생각을 뒷받침해줍니다.단주기혜성은 가스물질을 방출하면 운석과 비슷한 천체가 되는 듯합니다.혜성의 고체물질은 유성의 모물질이 되고 작은 입자는 태양계 공간에 퍼져서 혈도광의 원인물질이 되는 것으로 추측합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파 은하 특징 (0) | 2020.10.21 |
---|---|
금성 특징에 대하여 (0) | 2020.10.16 |
태양계의 형성 과정 (0) | 2020.10.14 |
암흑물질의 모든것 (0) | 2020.10.13 |
명왕성 특징과 얼음화산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