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은하는 평범한 은하보다 수백배 이상 강한 전파를 방출하는 은하입니다.관측하는 방향에 따라 핵이 뚜렷한 전파원으로 관측되기도 합니다.전파 은하의 제트와 로브의 일부 영역에서는 강한 X선을 방출 합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원인을 추정하고 있습니다.특히 블랙홀에 의해 고속으로 가속된 전자와 강한 자기장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퀘이사는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은하입니다.하지만 지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마치 하나의 별처럼 보입니다.그래서 준성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그러나 별처럼 보이더라도 은하라는 사실을 기억하셔야 합니다.또한 퀘이사는 지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적색편이 현상이 매우 크게 나타납니다.지구에서 관측했을 대 퀘이사의 후퇴속도는 빛의 속도의 0.1`0.82배나 될 정도로 빠르게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소리는 다른 의미로 지구에서 관측되는 퀘이사는 우주 초기에 만들어진 은하들이라는 소리입니다.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멀리 있는 퀘이사는 빅뱅 후 대략 8억년의 지난 시점에 만들어진 천체로 보고 있습니다.퀘이사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보통 은하의 수백배나 되지만,에너지가 방출되는 영역의 크기는 태양계 정도 사이즈 입니다.이렇게 작은 영역에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 것을 근거로 퀘이사 중심에는 질량이 엄청 큰 플랙홀이 잇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고속전파폭발은 우주에서 가장 강렬하고 수수께끼에 둘러싸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지금까지 이러한 사건은 우리 은하 외부에서 오고 있는 지속 시간 밀리 초 단위의 매우 밝은 전파 폭발이 대략 80개가 목격되어 왔으나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 밝혀진 바 없습니다.칼텍의 오웬스 밸리 전파천문대의 연구원들이 뛰어난 성능을 가진 장비를 통해 새로운 폭발을 포착하였으며,화와이의 W.M켁 천문대와 합동 관측으로 이 폭발이 79억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에서 기원하였음을 알아냈습니다.이러한 전파 폭발로 은하를 발견하는 일은 그 폭발을 촉발하는 수수께끼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절차입니다.또한 천문학자들이 역대 가장 먼 거리에서 전파 은하를 확인했습니다.이 전파은하는 인도에 의해 처음 포착되었으며,이후 네덜란드,브라질,이탈리아, 영국의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국제 천문학자 팀이 화와이의 제미니 노스 망원경과 애리조나의 거대 쌍안 망원경을 통해 해당 은하가 120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이는 은하가 얼마 형성되지 않은 우주 초기의 전파 은하인 것입니다.전파은하는 이름처럼 강력한 전파 신호를 방출하는 활동 은하로 은하 중심 블랙홀이 활발히 물질을 흡수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전파 은하는 우주 초기에는 드문 존재였습니다. 이번 발견 전에 확인된 가장 먼 거리의 전파 은하는 1999년에 보고된 것으로 거리는 100억 광년이었습니다. 이번 발견은 전파 은하의 역사를 10억 년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앞으로 이 전파 은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초기 은하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잇습니다.몰론 이들은 매우 예외적인 존재이지만,앞으로 더 먼 거리를 볼 수 잇는 차세대 관측 장비가 도입되면 우주 초기의 전파 은하가 생각보다 많거나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활동성 은하인 센타우루스는 도다른 전파원이며,이는 다소 백조자리 A와 비슷합니다. 이것은 먼지층에 의해 나누어진 E2형 은하입니다.전파 망원경으로 보면 센타우루스A는 큰 로브를 가지고 있으며 이 로브는 핵에서 부터 휘어져 있고 꼬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가까이에서 보면 전파 로브의 다른 쌍이 가시 은하의 끝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쪽과 바깥쪽 로브들이 거의 정확히 같은 배열을 하고있습니다.센타우루스 A의 핵은 안쪽 전파 로브의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아인슈타인 X선 천문 위성은 핵에서 복동쪽으로 방출되는 X선 제트를 관측하였습니다.이 제트도 전파와 광학 파장으로 관측되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지구에 대하여 (0) | 2020.11.01 |
---|---|
은하의 종류 (0) | 2020.10.30 |
금성 특징에 대하여 (0) | 2020.10.16 |
혜성의 특징 (0) | 2020.10.15 |
태양계의 형성 과정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