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통신위연회는 위성 3236개를 띄워 위성인터넷을 제공하겟가는 미국 아마존의 인공위성 발사계획 프로젝트카이퍼를 승인했습니다.2026년 까지 위성의 절반을,2029년까지 나머지를 발사할 계획입니다.이미 기국은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는 이미 595기의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했습니다.아마존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목적입니다.2020년대 중반까지 1만 200개의 위성을 쏘아 올립니다.모두 크기가 작은 소형 위성이지만 그숫자가 어마어마합니다.천문학계는 별자리나 천체 관측을 방해할 물체가 점점 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늘고있는 위성숫자와 함께 우주 쓰레기도 걱정을 더하고 있습니다.우주 쓰레기는 수명을 다해 지구 궤도를 떠돌고 있는 인공위성이나 그 잔해를 뜻하는 것으로 총탕의 10배에 속도에 해당하는 초속 8km로 지구 궤도를 졸고있습니다. 아주 빠른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며 별자리나 천체 관측을 방해합니다.인공위성이나 우주선과의 충돌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실제 미국항공우주국의 우중왕복선 엔데버호는 2007년 우주 쓰레기와 충돌하여 손가락 크기의 구멍이 생기기도 했습니다.우주 쓰레기는 1957년 구소련이 제작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래로 인공위성의 발사가 늘며 함께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유럽우주국에 따르면 현재 우주 쓰레기의 숫자는 3만 4천여개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주 쓰레기 청소가 필요하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일은 통 어렵습니다. 경쟁하듯 우주에 위성을 쏘아 올린 각국은 우주쓰레기 처리를 두구 서로 눈치만 보고 있었습니다.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뾰족한 아이디어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아직 우주공간의 이용에 대한 국제적인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도 큰 걸림돌입니다.하지만 이제 눈치게임은 끝나야 합니다.인류의 우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높아졌기 때문입니다.지금 세계 과학계는 2024년 달 착륙,2030년 화성착륙을 목표로 우주 개발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새로운 우주 개척시대가 열리는 이때,우주 쓰레기가 재앙의 씨앙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우주도 대청소가 필요합니다.지금 세계의 과학계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우주 쓰레기의 답을 찾아나가고 있습니다. 유럽우주국은 세계 최초의 우주 쓰레기 수거계획을 발표했습니다.2025년 우주쓰레기 수거로봇을 쏘아올린 뒤 목표한 잔해물을 추적해 수거하고,잔해화 함께 지구로 재진입시킨다고 합니다.성공한다면 개기권 진입과정에서 수거로봣과 쓰레기가 모두 타버려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이미 실패한 실험,아직 진행중인 실험도 있습니다.미국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는 우주 쓰레기 수거를 위한 실험용 청소 위성을 발사해 관련 연구를 진행중입니다.한국 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 물체 포획용 기술과 이를 시연할 초소형 위성을 개발 중입니다.
우주 쓰레기 처리 계획
과학자들은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그 중 하나가 바로 그물 포획 방법입니다.브레인 크래프트는 마치 담요를 펼쳐놓은 것처럼 생긴 막 형태의 우주선입니다.지구 궤도를 돌다가 우주를 떠돌던 쓰레기 파편이 막에 닿으면 동그랗게 말아버립니다.그 상태로 대기권으로 이동시켜 마찰열을 이용해 태우는 기술입니다.하지만 거대한 쓰레기를 처리하려면 보다 강력한 소재의 막이 필요한데 아직까지 그만큼의 내구성을 갖추려면 시간이 피룡할 것으로 보입니다.작살로 쓰레기를 맞춰 대기권으로 떨어뜨려 태우는 방법도 있습니다.하지만 많은 양의 쓰레기를 처리하려면 작살이 여러 번 발사돼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게다가 쓰레기를 맞추는 과정에서 자칫 폭발이 얼아나 더 많은 파편이 생길 수 있는 위험성도 있습니다.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는 또하나의 대안으로 자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인공위성은 철로 만들어져잇기 때문에 인공위성에 불리돼 우주를 떠도는 파편들을 자석으로 끌어당겨 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일단 우주 공간에 네오디뮴 자석과 같은 자성이 강한 구체를 띄우면 자연스럽게 우주 쓰레기들이 자석에 이끌리듯 붙게 될 거라고 과학자들은 이야기합니다.자석이 쓰레기를 잔뜩 붙이고 나면 그 다음에 이것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두고 고민에 빠진 상황이지만 그래도 지금으로서는 여러 대안들 중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우주 쓰레기를 없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는 여전히 진행중입니다.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우주 쓰레기 소탕 작전이 성공할 그날을 기대해 봅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력의 모든것 (1) | 2020.11.04 |
---|---|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대하여 (0) | 2020.11.03 |
갈색 왜성의 모든것 (0) | 2020.11.01 |
슈퍼지구에 대하여 (0) | 2020.11.01 |
은하의 종류 (0) | 202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