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환경오염 등 지구 환경이 나빠지면서 지구와 유사한 조건을 가진 슈퍼지구 탐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우주 과학자들은 각종 첨단장비를 동원해 외계생명체와 인간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찾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최근 이런 슈퍼 지구가 지구에서 6광년 떨어진 바나드 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그러나 이 행성은 몹시 추워서 사람이 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됩니다.수집된 데인터에 따르면 바나드별b는 지구 질량의 3,2배 이상의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공전주기가 대략 233일 정도 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 행성의 중심별인 바나드 항성은 차갑고 질량이 낮은 적색 왜성으로 희미한 빛을 내고 있습니다.에너지가 적어 태양이 지구로 보내는 에너의 2% 정도만 바나드별b에 보냅니다.중심별과 바나드b 행성 사이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0.4배 정도로 가까운데도 불구하고 물 같은 휘발성 화합물이 응겹될 수 있는 스노우 라인에 근접해 있습니다. 새로 발견된 행성은 기온이 영하 섭씨 170도로 사람이 살기에는 적합치 않습니다.천문학자 바나드 박사의 이름을 따 명명된 바나드 별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입니다.태양 나이의 두배에 이를 만큼 생성 연대가 오래돼 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활동적이지만 밤하늘에서는 가장 바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슈퍼지구는 바나드별과 같은 저질량의 항성 주의를 도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행성들로,이번 새로 발견된 행성도 수퍼지구 후보로 간조되고 있습니다.더욱이 현재의 행성 형성 이론에 따르면 바나드b행성은 스노우 라인이 만들어지게에 이상적인 위치로 예측 됩니다.일반적으로 슈퍼지구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질량보다 2~10배 가량 무거우며 태양과 같은 중심별에서 적정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거나 물이 존재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천체를 일겉습니다.
스페인 연구원이 이그나시 리바스는 매우 조심스러운 분석 결과,우리는 바너드b 행성이 그곳에 있다는 것을 99% 이상 확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이 행성과 바너드 별과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비해 훨씬 가깝지만 바너드 항성이 태양보다 훨씬 적은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바너드b는 항상 얼어 붙어있습니다.이 행성은 궤도를 도는 행성의 중력 때문에 발생하는 별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시선속도법이라는 기술을 통해 발견됐습니다. 이번 발견은 우리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별들이 아마도 하나의 별들 골고 있을 것이고,우리가 광개한 우주에서 홀로있지 않다는 가능성을 더욱 분명히 해주는것이라고 평했습니다.
최근 독일 존네베르그 천문대의 미하엘 히프케 연구원은 슈퍼지구에서 아폴로 달 탐사 임무에 상응하는 기존 로켓을 발사하려면 약 44만톤의 연료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이는 이집트 기자에 있는 대피라미드 질량에 해당하는 엄청나게 많은 양입니다.이유는 거큰 행성에서 우주 비행을 하려면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갈 것이라면서 이는 지구보다 질량이 큰 수퍼지구의 강한 중력 때문이라고 말햇습니다.히프케 연구원은 슈퍼지구에서 일반적인 로켓을 발사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 지구보다 질량이 약 70%더 큰 가상의 슈퍼즈구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한 로켓의 크기를 계산하였습니다.이 가상 슈퍼지구는 지구에서 약 950광년 거리에 있는 회계행성케플러-20b와 유사한데 이곳에서 대기권을 벗어나려면 로켓의 속도가 지구보다 약 2.4배 빨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같은 세게에 사는 외계인들은 일반적인 로켓을 발사하는 데 한가지 큰 문제에 직면하는데 그건 바로 연료 무게입니다. 슈퍼지구에서 일반적인 로켓을 발사하려면 많은 연료가 필요하고 이때문에 로켓이 더 무거워진가는 것입니다. 히프케 연구원은 스페이스탓컴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우주 비행을 하기에 얼마나 가벼운 행성에 살고 있는지를 깨닫고 놀랐다 면서 슈퍼지구에 외계 문명이 있다면 그들은 운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또한 이번 연구에서 현재 가장 서능이 좋은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 로켓을 사용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적재물을 대기권 밖으로 쏘아올리려면 가장 큰 항공모함의 질량과 맞먹는 6만톤의 연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는 슈퍼지구에 문명이 있어도 별을 탐사할 가능성은 우리보다 훨씬 적다면서 이에 외계인들은 우주선을 발사하는 대신 레이저나 전파 망원경을 사용해 성간 소통을 할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 쓰레기 문제 (0) | 2020.11.02 |
---|---|
갈색 왜성의 모든것 (0) | 2020.11.01 |
은하의 종류 (0) | 2020.10.30 |
전파 은하 특징 (0) | 2020.10.21 |
금성 특징에 대하여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