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외곽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천체들의 집단을 뜻합니다.일반적으로 태영계의 범위는 명왕성 까지로 아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태양의 중력이 미치는 범위는 훨씬 넓습니다.명왕성 바깥의 천체들의 집단을 카이퍼벨트라고 하며 이 카이퍼 벨트 바깥을 껍질처럼 둘러싸고 잇는 천체들의 집단을 오르트 구름이라고 합니다.오르트 구름은 안과 밖으로 나뉘어집니다.안쪽은 태양에서 2천~2만AU,바깥쪽은 태양에서 2만~5만AU 거리만큼 떨어져 있습니다.하지만 학자들의 견해가 조금씩 달라서 오르트 구름이 시작되는 범위를 해왕성 궤도 바깥쪽부터 보기도 하며,오르트 구름의 끝을 10만AU 이상으로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태양계 범주가 사실 엄청나게 넓은겁니다.
오르트 구름에 속하는 천체들은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습니다.직경이 1KM 되는 천체가 큰 종류에 속할 정도입니다.천체의 개수는 수조개가 될 것으로 추정되지만,정작 질량은 낮습니다.바깥쪽 천체들을 전부 합해도 질량이 지구의 5배 정도 입니다.게다가 오르트 구름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전체가 조밀하게 밀집되어 있지 않아 실제로 구름이라고 부르기가 뭐할 정도로 옅습니다.이렇기 때문에 관측이 쉽지 않아서 직접 관측으로 실체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하지만 혜성의 궤도경사각 통계로 볼 때,오르트 구름의 존재는 거의 확실시 되어 있습니다.오르트 구름은 혜성의 고향으로 불립니다.사실 단주기 혜성은 카이퍼 벨트에서 오는 것으로 추정되며, 장주기 혜성과 비주기 혜성이 오르트 구룸에서 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지구상 생명체의 기원과 멸종에 연관되어 있는 혜성의 기원이 되는 장소인 만큼 연구가치가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태양의 중심으로 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자기들끼리 엉켜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즉 태양 가까이에 있는 구름이 엉키는 동안 바깥쪽에 있는 찌꺼기들은 그곳에 그대로 남아서 항성된 것입니다.이 구름들은 행성들이 있는곳에서도 광장히 멀리 떨어져 있지만 여전히 태양의 중력권 안에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아무도 오르트 구름을 관측하거나 확인하지 못햇습ㄴ디ㅏ.혜성의 고향이라고만 알려진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의 탄생 이후 5분의 1정도가 태양계 밖으로 사라졌거나 태양계 내부에서 증발하여 사라졌다고 추정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5분의 4가 태양계 끄트머리에 남아 있는 셈입니다.
오르트 구름에는 수십억,심지어 수 조에 달하는 얼음 덩어리가 있을 수있습니다.이제 이 얼음 세계들 중 하나의 궤도를 방해하는 무언가가 우리 태양쪽으로 다가오기 시작합니다.최근의 두가지 예는 아이손 혜성과 사이딩 스피링 혜성입니다.아이손은 태양에 너무 가까워지면서 증발해 버렸습니다.화성에 매우 근접하여 통과를 한 사이딩 스프링은 내부 태양계를 통과하였지만 약 7만4천년 동안 돌아 오지 않을 것입니다.대부분의 알려진 장 주기 혜성은 궤도 주기가 길기 때문에 기록된 역사에서 단 한번만 보였습니다.수많은 알 수 없는 장주기 혜성들은 인류에 의해 관찰되지 못하였습니다.일부는 궤도가 너무 길어서 마지막으로 그들이 내부 태양계를 통과햇을 대 우리 인류는 아직 존재하지도 않았습니다.어떤 해성은 그들이 형성된 이래 수십억년 동안 태양에 가까이 가본적이 없습니다.
오르트 구름은 약 46억년 전에 태양 주위에 형성된 고유의 원시 행성의 나무지로 추측됩니다.많은 가설 중 가장 유력한 가설은 목성과 같은 거대한 행성의 중력으로 인해 밀려났다는 이론입니다.초기에는 행성과 소행성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오르트 구름의 물체가 태양으로 가까워질 대가 있엇지만 목성과 같은 거대한 행성의 중력으로 인해 오르트 구름의 물체를 극단적으로 긴 다원 궤도나 포물선 궤도로 밀쳐냈다는 것입니다.기원부터 현재까지의 예상 오르트 구름 시뮬레이션을추정햇을 때 약 8억년 부근에서 오르트 구름이 가장 컸을 것으로 추츧합니다.오르트 구름이 장주기 혜성 및 비주기 혜성과 연관이 잇을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연구 가치가 있는 편입니다.특히나 혜성을 연구하여 지구의 기원과 멸종을 연구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연구할 가치가 있습니다.실제로 오르트 구름의 천체들이 지구상의 생명체 대멸종에 기여햇다는 네메시스 가설이 존재하며 탄생에 기여햇다는 이론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