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들은 우주공간에 아무렇게나 흩어져 있지 않습니다.20세기 초만 해도 사람들은 우리 은하계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습니다.당시의 만원경은 지금보다 성능이 훨씬 떨어졌기 때문에 뿌연 구름덩어리 처럼 보이는 천체를 다 성운이라고 불렀습니다.하지만 만원경의 성능이 향상되고 관측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런 성운들 중에는 수많은 별들이 모여있는 별들의 집단,은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우리 은하계 박에 있는 은하를 외부은하라고 부릅니다.우주에는 이런 외부은하들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은하는 우주의 바다에 떠 있는 별들의 섬이고,은하는 하나의 작은 우주가 되는 것입니다이런 외부은하들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별들은 은하 속에서 태어나고 폭발해 사라집니다.천문학자 허블은 수많은 은하를 형태에 따라서 나선은하,막대나선은하,불규칙은하,타원은하 등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타원은하
타원은하가 허블의 불류 체계에서 타원은하가 그 타원율에 따라 거의 원에 가까운 모양에서부터 찌그러진 보양까지 세분화될 수 있습니다.타원 은하들은 타원체의 형태이기에 어느 방향에서 보든 타원형의 모양을 보이며 타원 은하의 구조는 단순하고 성간 물질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합니다.따라서 타원 은하에는 새로운 별들이 적게 만들어지며 산개 성단이 적은 대신 은하중심을 임의의 방향으로 공전하는 늙은 별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런 점은 타원 은하보다 훨씬 작은 구상성단의 경우와 비슷합니다.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들은 주로 타원 은하이며,만은 타원 은하들이 은하간의 상호작용으로 충돌,병합되어 만들어졌다고 생각이 됩니다.이런 식으로 타원 은하들은 나선 은하와 비교해 엄청난 크기로 자라게 됩니다.거대 타원 은하들은 보통 큰 은하단의 중심 부근에서 발견 된다고 합니다.폭발적 항성생성 은하는 이러한 은하들의 충돌로 생겨난 것입니다.이것들이 이후 타원 은하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나선형은하
우리 은하와 그보다 더욱 그럴 것으로 믿어지는 M31은 전형적인 해형 나선 은하입니다.이들은 핵,헤일로,그리고 나선 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성간물질은 일반적으로 나선 은하원반에 널리 흩어져 있습니다.밝은 방출 성운과 뜨거운 젊은 별들은 특히 나선 팔에 존재하는데 그곳에서 새로운 별들이 탄생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대체로 나선 은하의 1/3 이상은 별들로 이루어진 두드러진 막대가 중심 핵을 관통하는 형태를 보입니다.그러한 은하에서 나선파은 일반적으로 핵에 집접 감겨져 있지 않고막대 나선이라고도 합니다.
솜브레로 은하
솜브레로 은하는 멕시코 인들이 즐겨 쓰는 모자를 닮아 솜브레로 은하라 불립니다.은하 중심부는 거의 보이지 않고 테만 커다랗게 보입니다.적외선을 방출하는 성간 먼지들이 중심부에는 거의 없고 은하원반에 몰려 있기 때문입니다.먼지층이 많은 곳에는 성간물질이 많아서 새로운 별들이 태어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은하는 봄철의 별자리인 처녀자리 방향으로 5천만 광년 거리에 있습니다.
불규칙 은하
이 등급의 대부분의 대표자는 거친 영역의 거친,매우 불규칙한 형태입니다불규칙은하는 눈에 띄는 대칭이나 명백한 중심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일반적으로 나선 은하의 팔과 원반보다 색이 푸릅니다.그러나 극소수의 숫자는 빨간색이며 비대칭 형이지만 매끄럽습니다.허블은 이 두가지 유형의 불규칙 은하를 인식했습니다.그것들은 파랗고,매우 결의가 있으며,핵이 거의 또는 전혀 없습니다.
막대나선은하
막대나선은하는 중심부에 막대 모양이 있는 나선은하입니다.핵의 양쪽에 막대가 달린 모양이며,그 양끝에 나선팔이 감겨 있습니다.벌지부에서 대칭으로 막대구조가 뻗고,그 끝에서 나선팔이 시작됩니다.막대나선은하는 SBa,SBb,SBc등으로 구분됩니다.SBa에서SBc로 갈수록 나선팔은 점점 이완상태가 되고 팽대부도 작아져 갑니다. 청백색거성,암흑성운의 분포도 나선은하와 거의 마찬가지로 SBa에서 SBc로 갈수록 뚜렷해집니다.막대구조에 따라 현저한 암흑성운의 줄이 보이는 수 가 많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색 왜성의 모든것 (0) | 2020.11.01 |
---|---|
슈퍼지구에 대하여 (0) | 2020.11.01 |
전파 은하 특징 (0) | 2020.10.21 |
금성 특징에 대하여 (0) | 2020.10.16 |
혜성의 특징 (0)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