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밝기가 40%까지 급격히 떨어져 비상한 관심을 집중시켰던 오리온자리 알파별 베텔게우스의 기이한 변화는 일시적으로 항성의 표면 절반을 가린 흑점 현상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오리온 자리는 북반구 하늘에서 유일하게 1등성 두개를 가지고 있는 겨울 별자리입니다.이 별자리의 왼쪽 위 귀퉁이를 보면 불그스레 빛나는 별 하나가 있습니다.바로 베텔게우스 입니다.칼을 쳐들고 있는 사냥꾼 오리온의 오른쪽 겨드랑이 부근에서 유난히도 밝게 빛나는 베텔게우스는 그래서 아라비아어로 겨드랑이 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인 베텔게우스는 크기가 무려 태양 지름의 900배에 달하는 적색 초거성으로 밝기는 태양의 10만배를 훌쩍 넘습니다.만약 베텔게우스를 우리 태양 자리에 끌어다 놓는다면 수성,금성,지구,화성은 베텔게우스에 먹혀 사리질 것입니다.크기가 큰 별일수록 강한 중력으로 핵융합이 급격히 진행되는 바람에 연료 소모가 빨라 빨리 소멸합니다.베텔게우스의 나이는 800만 년 정도로 아직 어린별인데도 별이 부풀어 오르고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는 등 소멸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천문학자들은 베텔게우스가 조만간 폭발할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슈퍼노바, 곧 초신성 폭발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그러나 베텔게우스는 희미한 상태에서 벗어났으며 월래 밝기를 되찾았습니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베텔게우스의 이같은 회복은 별이 커자는 과정에서 별을 탈출한 물질이 넓은 공간에 퍼져 있는데,이 물질이 별빛을 가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이번 새로운 연구는 베텔게우스의 밝기가 떨어진 것은 베텔게우스 자체에 그 원인이 있음을 시사합니다.또한 앞으로 몇년 간 관측하면 베텔게우스의 급격한 감광이 흑점 사이클과 관련된 것인지 알아낼 수 있을것이라면서 어떤 경우든 베텔게우스는 미래 연구에도 흥미로운 대상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베텔게우스의 표면 온도는 대략 3230도 정도입니다.이 결합 데이터는 베텔게우스의 감광이 표면 온도가 약 200도 떨어진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줍니다.연구팀은 또 베텔게우스의 고해상도 이미지에 나타난 광도가 비대칭적 차이를 보이는 점을 근거로 광구의 50~70%가 거대한 흑점으로 덮여 있으며,이 구역이 밝은 구역보다 낮은 온도를 보이는것으로 분석 했습니다.
카시오페아 자리 방면으로 지구에서 약 4000광년 정도 떨어진 카파카시오페아 매우 밝고 뜨거운 별이 있습니다. 지구에서는 거리 때문에 겉보기 등급이 4등급 수준이지만 실제로는 태양보다 33만배 정도 밝은 별로 표면온다는 21500K에 달합니다.그리고 초기 B형 초거성 단계로 주변으로 강력한 항성풍을 뿜어내고 있습니다.초거성은 보통 태양 질량의 8~12배 정도 이상에 밝기는 10000배 이상,지름은 30~50배 정도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카파 카시오페아 역시 태양 지름의 40배 수준으롷 부풀어 오른 것으로 추측하며,별의 생애 후반기로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고있습니다.천문학자들이 이 별에 주목하는 것은 단지 그것 때문만은 아닙니다.이 별의 진짜 특이한 점은 이렇게 크고 밝은 별이 아주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습니다.지구에서의 상대속도는 빠르지 않지만 주변의 다른 별과 비교한 상대속도는 무려 1100KM/S에 달합니다.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이 별의 방향 앞으로 강력한 뱃머리 쇼크를 관측했습니다.뱃머리 쇼크라고 한글로 번역하면 이상하지만 이는 천체의 앞쪽에서 만들어지는 충격파를 의미하며 지구에서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풍과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합니다.카파 카시오페아의 경우는 이 별의 빠른 이동 속도와 강력한 항성풍,은하 자기장,그리고 주변의 가스,먼지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거대한 아치 모양의 뱃머리 쇼크가 관촬되었습니다.
무거운 별의 중심에는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규소,산소,탄소 등의 원소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킵니다. 또한 중심부에는 철이 생성됩니다.초거성과 적생거성의 중심핵이 철로 별하는 순간 핵융합 반응이 멈추고 폭발하므로 초신성이 되어버립니다.초신성이 만들어질 이전에 부피가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여기서 폭할을 할 때 순간적으로 온다고 매우 높아지므로 촐보다 무거원 원로를 만들고,폭발 후 별의 중심에는 중심핵이 남게 되어 중성자별,질량이 더 큰 별에서 중심핵이 남게되어 빛조차 나오지 못하게되는 블랙홀도 만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 (0) | 2020.11.08 |
---|---|
구상성단의 모든것 (0) | 2020.11.07 |
타이탄 특징 (0) | 2020.11.05 |
중력의 모든것 (1) | 2020.11.04 |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대하여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