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오우무아무아 천체

2017년 화와이에 있는 마우의섬에 설치된 천문대에 이상한 물체가 하나 발견되었습니다.처음에는 그냥 흔히 보이는 수많은 천체 중 하나일줄 알앗지만 이 천체의 행동이 무언가 부자연스러웠습니다.대부분의 천체는 어두워지고 밝아지고를 반복하는게 일반적입니다.오우무아무아라고 불리는 이 천체 역시 어둡고 밝아지기를 반복했는데 그 페턴이 일반적인 천체들과는 달랐습니다.이 천체는 밝기가 굉장히 극단적이였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패턴을 통해 천체의 크기와 모양을 유추해 볼 수 있었습니다.천체는 가로10,세로1 정도 되는 굉장히 얇고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보통의 천체들은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1/2 혹은 1/3정도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그에 반해 이 천체는 비정상적으로 길이가 길었습니다.이 천체는 오우무아무아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해석을 하면 먼 곳에서 지구를 찾아온 정찰병이라는 뜻입니다.더욱 놀라운 점은 오우무아무아는 우리가 살고있는 태양계 안에 존재하던 행성이 아니라는 점입니다.성간 천체는 태양계 내부에서 순환하는 천체가 아닌 태양계 바깥 즉 외계에서 유입된 행성을 말합니다.오우무아무아의 가장 이상한 현상은 바로 속도에 있습니다.보통 혜성은 초속 약 20KM 정도로 이동하는데 오우무아무아는 초속 87KM로 이동하고 있었습니다. 당연히 이러한 현상들 때문에 많은 과학계와 천문학계가 이를 집중적으로 관찰했고 여기서 놀라운 사실이 하나 더 발견됩니다.다들 자연적인 천체로 가정하고 궤적을 예측하였는데 실제로 관측된 궤적이 예측했던 궤적과 많은 차이를 보였습니다.천문학자의 의견에 따르면 이러한 차이는 단순히 중력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으며 어떠한 인공적인 힘이 작용해서 가속을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물론 자연적인 현상 중에서도 혜성같은 경우는 이렇게 자체적으로 가속이 되긴 합니다.하지만 그렇게 가속이 되는 행성들은 보통 그 과정에서 긴 꼬리를 남기면서 이동을 합니다.하오우무아무아는 가속을 햇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꼬리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마치 자체에서 인공적인 힘으로 가속을 한것처럼요.

미국 시카고대와 예일대의 연구팀은 최근 최근 오우무아무아가 우주에 떠다니는 수소 얼음덩어리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혜성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가스와 먼지 구름으로 된 코마가 없으면서도 혜성처럼 태양을 돌아나갈 때 가속 현상을 보이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유력한 가설로 주목을 받았습니다.아직 수소 얼음은 우주에서 발견된 적이 없으며 만약 존재한다면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힐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오우무아무아의 길이가 5KM보다도 긴 커다란 수소 얼음덩어리로 이뤄져 있다면 지금과 같은 길이로 작아져서 살아남을 수도 있겠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물리 이론으로는 우주에서 그같은 크기의 수소 얼음덩이리가 만들어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아브라함 로브 교수는 오우무아무아가 수소 얼음덩어리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 냈지만 이 성간 천체의 정체가 무엇인지,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규명하는 것은 어전히 천문학자들이 풀어야할 숙제라고 말하였습니다.천문학자들은 2022년 베라 루빈 천문대의 세계 최다 8.4M 탐사 망원경이 가동되면 오우무아무아와 같은 성간 천체를 1년에 1~2개정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성 엔셀라두스  (0) 2021.01.12
왜행성 하우메아  (0) 2021.01.11
위성 미마스  (0) 2021.01.08
유로파 위성  (0) 2021.01.07
우주의 온도  (0)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