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수수께끼의 퀘이사

퀘이사는 1960년 처음 발견 당시 은하처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별과 같이 점으로 보였기 때문에 항성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준항성 또는 준성전파원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 등의 물리학 연구가 활발했음에도 2000년대 초반까지 알려진 바가 없었으며 여러 논란이 있었습니다.현재까지 연구된 퀘이사의 에너지원은 초거대 질량 블랙홀입니다.태양과 같은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모든 파장에서 거대한 에너지를 발산합니다.블랙홀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퀘이사의 발견이 갖는 의미는 블랙홀 존재의 증명입니다.2차 세계대전 당시 기술 발달로 인해 천문학자들은 전파망원경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파를 발생하는 천체를 관찰하게 되었습니다.그것이 퀘이사의 첫 1발견이었으며 이를 통해 블랙홀이 실제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잇게 되었습니다.또한 퀘이사는 우주 초기 모습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가장 멀리 있는 퀘이사는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290억 광년입니다. 광속은 일정하기 때문에 가장 멀리 있는 퀘이사의 주변 환경과 모습은 우주 초기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우주의 거의 모든 은하의 중심에는 엄청난 양의 물질을 먹어 치우고 엄청난 양의 방사선을 내뿜는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존재합니다.퀘이사는 우주에서 가장 에너지가 넘치는 천체 중 하나입니다.라이브사이언스에 따르면 떨어지는 물질이 거의 빛의 속도로 퀘이사의 턱 주위로 소용돌이 칠때 그 물질은 자신의 방사선의 놀라운 힘에 의해 추진되어 열을 가하고 바깥으로 날아갑니다.은하계간 소화불량은 퀘이사를 경이로운 광경으로 만들며 천억개의 별을 가진 은하보다 천배나 밝게 빛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일련의 새로운 논물들은 우주의 지도에 퀘이사를 놓는 바로 그 방사선이 만족할 줄 모르는 물체를 품고 있는 은하를 파괴하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하였습니다.천문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먼 퀘이사에서 쏟아져 나온 13개의 퀘이사 유출,즉 고속 방사선을 감시하였습니다.연구팀이 조사한 한 번의 유출은 3년 동안 거의 4300만mph에서 약 7400먼km/h로 가속되었는데 이는 우주에서 관측된 바람 중 가장 빠른 속도입니다.연구자들은 이 고온에서 고속의 가스로 인해 퀘이사의 숙주 은하의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손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은하의 원반을 쓰나미처럼 파괴하고 잠재적인 별 형성 물질을 우주 깊숙이 날려 버린 것입니다.연구자들은 한 개의 퀘이사 유출로 인해 수백 개의 태양분 물질이 은하간 공간으로 밀려들어와 새로운 별을 형성을 막고 화려한 불꽃축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이러한 발견은 우리 우주에 대한 오랜 난제를 푸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퀘이사는 하늘에서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수천 내지 수만개의 별로 이루어진 하나의 은하입니다,퀘이사가 멀리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이 가능하는 것은 퀘이사가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개 때문입니다.천문학자들은 퀘이사가 이처럼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이유를 중심에 위치한 블랙홀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10억배나 되는 매우 무거운 블랙홀이 자리 잡고 있는데 그 주위에는 원반이 둘러싸고 있습니다.이러한 원반의 물질은 회전하면서 블랙홀로 떨어지고 있는데 이 때 물질의 중력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바뀌면서 거대한 양의 빛이 나온다는 것입니다.퀘이사는 우주 초기에 만들어진 아주 멀리 있는 천체로 우주 초기의 활동을 알 수 있게 하는 특이한 존재입니다.이는 은하계가 원시 기체와 먼지 구름에서부터 초거대 질량의 블랙홀을 만들 만큼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기존에 은하가 먼저 형성되고 블랙홀이 나중에 만들어졌다는 생각을 뒤집을 수도 있는 이야기입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중 우주론  (0) 2021.01.17
은하 충돌  (0) 2021.01.16
카이퍼 벨트에 대하여  (0) 2021.01.14
파이어니어 메세지  (0) 2021.01.13
위성 엔셀라두스  (0) 202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