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이어니어 메세지 1958년 달을 향하여 발사된 파이어니어 1호는 달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지구로부터 11만KM라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거리에 도달했습니다.2호는 실패했고,같은해 12월 발사한 3호도 실패했지만 지구상공에 두번째의 방사선대인 반일렌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해주었습니다.파이어니어 메시지란 칼 세이건이 NASA에 건의하여 만들어진 메세지로,파이어니어 탐사선 10호,11호에 실려 잇어서 파이어니어 메시지란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금속판에 외계인이 알아보고록 인간의 모습과 태양계의 행성,에너지 사용법 등을 나타냈으며 1972년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와 1973년 발사된 파이어니어 11호에 탑재되어 있습니다.금속판이기 때문에 우주먼지에 참식될 수 있으나 태양이나 지구보다 더 오래 남아 있을 정도로 깊게 파여 있.. 더보기 위성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는 크기가 500KM에 불과한 작은 위성입니다.아주 오래전인 18세기에 발견되었습니다.그 이유는 아주 밝기 때문입니다.일반적으로 암석인 경우 태양빛을 받아 일부는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합니다.그런데 거울처럼 모두 반사하는 경우는 표면이 암석이아닌 경우이고 높은 가능성 중의 하나가 얼음인 경우입니다. 토성에는 고리가 있는데 그 고리안에는 위성이 없습니다.흔히 로쉬한계라 하는데 그 안에 들어온 행성이나 위성운 모성의 중력을 만드는 강한 조석력에 의하여 부서져버립니다.토성의 고리는 그렇게 부서진 위성들의 잔해입니다.작은 위성이 강력한 토성의 조석력을 받다 보니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입니다.강한 조석력은 내부가 뜨거울 가능성을 내포합니다.오죽하면 위성이 구가 아니라 타구가 되었을까요.엔셀라두스는 토성의 가.. 더보기 왜행성 하우메아 왜행성 중 하나인 하우메아는 매우 독특한 천체입니다.길쭉하게 생긴 괴상한 외형은 과학자들에게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긴쪽의 지금은 거의 2000KM에 가깝지만 짧은 쪽은 지름은 1000KM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는데 지름 500KM 넘는 태양계 천체 가운데 이렇게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모습을 한 것은 하우메아가 유일합니다.하우메아의 최초 발견은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의 마이크 브라운 교수팀이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공식 발표를 늦게하여 2005년 오르티스가 이끄는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 과학자들의 발견과 읜견 충돌이 존재합니다.발견은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진이 먼저 했으나 검토하려고 지켜보던 사이에 스페인의 연구팀이 먼저 공식 발표를 하면서 초기에 스페인 연구팀이 최초 발견.. 더보기 오우무아무아 천체 2017년 화와이에 있는 마우의섬에 설치된 천문대에 이상한 물체가 하나 발견되었습니다.처음에는 그냥 흔히 보이는 수많은 천체 중 하나일줄 알앗지만 이 천체의 행동이 무언가 부자연스러웠습니다.대부분의 천체는 어두워지고 밝아지고를 반복하는게 일반적입니다.오우무아무아라고 불리는 이 천체 역시 어둡고 밝아지기를 반복했는데 그 페턴이 일반적인 천체들과는 달랐습니다.이 천체는 밝기가 굉장히 극단적이였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패턴을 통해 천체의 크기와 모양을 유추해 볼 수 있었습니다.천체는 가로10,세로1 정도 되는 굉장히 얇고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었습니다.보통의 천체들은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1/2 혹은 1/3정도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그에 반해 이 천체는 비정상적으로 길이가 길었습니다.이 천체는 오우무아무아라는.. 더보기 위성 미마스 1789년 허셜이 발견한 미마스는 토성의 위성입니다.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습니다.자체 중력으로 구형 외관을 유지하고 있는 천체들중 가장 크기가 작습니다.토성으로부터의 거리는 18만 6000KM입니다.공전주기는 약 22시간 37분이며,미마스의 내부는 대부분 물의 얼음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미마스의 표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지름 130KM에 이르는 허셜 충돌구입니다.총돌구의 깊이는 평뮨 5KM이며 가장 긒은 곳은 10KM에 이릅니다.충돌부 중앙부는 높이 6KM로 솟아있습니다.이 충돌구보다 약간 더 강한 충격이 가해졌다면 미마스는 산산조각 났을 것입니다.충돌구의 대척점 부근에는 그 당시의 충격파로 인한 파편들이 발견되었습니다.표면에는 작은 충돌구들이 많지만 허결 충돌.. 더보기 유로파 위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몬성의 위성중 가장 큰 위성이 가니메데이고 네번째로 큰 위성이 유로파입니다. 1600년에 갈릴레오가 발견하였습니다.하여 갈릴레오 위성이라 부르기도 합니다.태양계에서 달은 위성중 5번째로 큽니다. 이 중 유로파가 과학자들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그 표면 대문입니다.유로파는 마치 당구공처럼 표면이 매끄럽습니다. 그리고 크레이터가 별로 없으며 모두 새로 생긴 표면입니다.이는 표면이 녹았다 얼엇다 하면서 오래된 크레이터의 흔적을 지웠기 때문입니다.표면에 무늬가 계절에 따라 변하기도 합니다.얼음 위의 온도는 영하 100도 정도로 추정되지만 마늬가 변하는 것은 부근이나 녹거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곳도 있다는 의미입니다.얼음은 두께가 수습~수백 킬로미터에 이르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우주의 온도 우주의 온도를 잴 때는 평소 사용하는 온도의 단위와는 다른 단위를 사용하고있습니다.우리가 사용하는 온도의 단위는섭씨입니다.섭씨는 1기압에서의 물이 어는점인 0도와 끓는점 100도를 기준으로 100등분한 온도입니다. 그러나 기압이 달라진다면 어는점과 끓는 점도 달라지게 됩니다.또한 물질의 상태에 따라 끓는 점 역시 달라집니다. 불순물이 섞일록 끓는 점은 더 높아지게 됩니다.물질의 상태 또는 환경과 관계없이 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절대온도 K를 사용합니다.절대 온도는 이론적으로 가장 낮은 온도인 절대 영도 OK를 기준으로 합니다.OK는 더이상 차가워질 수 없고 어떤 열도 남아있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절대온도 OK는 섭씨로 환산했을때 -273.15도 입니다.상상이상으로 우주는 추운 온도입니다.그렇다면 우주의.. 더보기 명왕성의 위성 카론 카론은 명왕성에서 2만KM 떨어진 거리에서 함께 공전합니다.명왕성은 다른 행성들보다 훨씬 작습니다.달과 비슷한 질량에 지름은 2400KM 정도로 추측하고 있습니다.카론은 명왕성의 절반 크기입니다.행성과 위성이라 보기에는 크기 차이가 적고 거리가 가깝습니다.명왕성은 1930년 발견됐지만 카론은 1978년에 존재가 알려졌습니다. 지구에서는 하나의 별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카론은 미국의 천문학자가 발견했는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저승의 강 중 하나인 아케론의 뱃사공 카론에서 이름을 땃습니다.2005년 새로운 위성 2개가 발견될 때까지는 카론이 명왕성의 유일한 위성이였습니다.질량중심이 명왕성과 카론 사이의 우주공간에 잇기 때문에 이중행성으로 보기도 합니다.카론의 온도는 절대온도에 가까워 분자들의 운동이 거의 .. 더보기 소행성 세레스 네이처 저널에 발표된 여러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화성과 목성의 궤도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물체인 세레스는 표면 아래에 바다를 보함하고 있다고 합니다.따라서 그것은 해양 행성입니다.세레스는 직경이 950KM에 불과한 내부 태양계에서 유일한 왜성 행성입니다.과학자들이 허셜 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세레스를 발견하였고,수증기의 결정적인 신호를 포착하였습니다.수증기로부터 나오는 물보라는 세레스의 얼음 표면이 약간이나마 따뜻해질 때 주기적으로 분출되는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세레스는 왜소 행성으로 분류되어 있는 천체로서 왜소행성은 소행성들보다는 크고 행성보다는 작은 규모를 가진 천체입니다.지난 세기,세레스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소행성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그러나 2006년 행성형 천체에 대한 명명권을 가진.. 더보기 태양 탐사선 파커 NASA의 과학위성으로 2018년 8월 플로리다 케이프 케내버럴 공군기지에서 파커는 발사되었습니다.파커 태양 탐사선의 임무는 태양의 대기를 통과 표면에 근접하여 인류에게 태양에 대한 가장 가까운 관측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파커 태양 탐사선은 태양 대기의 신비를 풀기 위해 7년동안 7번의 비행으로 금성의 중력을 사용하여 궤도를 점차 태양에 더 가까워지도록 할것입니다.태양의 대기 바깥쪽으로 비행하면서 현장측정과 이미지의 조합을 사용하여 코로나에 대한 이해를 돕고 태양풍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지릭을 넓힐 것이고 지구의 생명과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우주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는 능력에 중요한 기여를 할것입니다.태양 관측 임무의 주요 과학 목표는 에너지와 열이 태양 코로나를 통해 어떻게 움직이는지 추적하고 태양 에.. 더보기 이전 1 2 3 4 5 ··· 8 다음